Traces of time, death and revival through day and night

2011

Lee Younghee metaphorically represents nature and civilization, whole and part, and life and death, with materials and sites where her works are installed. With an applied art, art education, and art studies major, Lee explores themes like a researcher, using long investigation and diverse materials. Her work evolves into a series of organic installations in diverse places such as indoor spaces and natural landscapes.

Trace of time

In her early work Lee presented space like a historic site space with installation objects based on forms and motifs from artifacts related to prehistoric pottery, traditional patterns, and folk culture. Opposing established archeology, relic collection, reshaping physical life, new archeology appear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with claims of studying the spiritual world from within artifacts and then to society, investigating human behavior, cultural progress, and laws. From the context of new archeology Lee explores traces of the past and reconstructs them in diverse spaces.

Lee used dyed fabrics as objects installed in a dreary winter scene at Daeseong-ri Festival 1991. These looked like the earth’s crust engraved with patterns or ancient rock painting, reminiscent of a disappeared civilization. Objects such as a duregi (flags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and a sotdae (village guardian pole), are icons symbolic of Lee’s recovery of tradition, severed by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Lee’s 1997 solo show Crack:Excavation showed the work of erecting monuments of memories through archeology, folk and traditional culture. Lee represented sites of archeological excavation, where lives disappear and traces of civilization are found. Relics excavated are displayed in museums as archeological material through scientific method and historical verification, separated from sites where they were discovered. For Lee, excavation is a physical encounter and means of moving a memory which relics bear to her work.

Inspired by fragments of pottery from early civilization that appeared when humankinds settled in a place, Lee stitches various fabrics together, in an act of recovering fragments of time and memories of human life. Past and present thus flow in the space where her work is installed.

Day and night

The materials of Lee’s installation includes clay, cotton, hemp, and ramie cloth. Lee inserts cotton tuffs, leaves, and twigs between the cloth, stitches these, to fossilize irregular fragments, engendering layers of time.

In the 1970s women artists and artists from minority races addressed subjective themes within people, tradition, and folklore, embracing marginal genres like quilting, stitching, and ceramics. Lee’s installation has developed into site-specific structures influenced by alternative art movements of the 1970s. Her installation exhibited at the Juksan Art Festival in 1998 showed the flow of time, from day to night, and changes in a place affected by this flow. The Island 1998, displayed at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esented a stage with the unique structure linking floors of the museum to the ground floor. These installations present poetic space in which viewers mediate on life and death.

In Lee’s work land is space where her work is set, and the theme of her work. The Crack 2005 shows cycles of the universe between life and death, and force of life underground chronicling the time of the past with sprouts shooting up from a chasm. The landscape of this land is source of her inspiration.

Camille KH PARK

-----------------

시간의 흔적과
낮과 밤을 통해 재생되는 죽음과 부활

2011
박기현

이영희는 그가 사용하는 재료와 작업이 설치되는 장소를 통해 자연과 문명, 전체와 부분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해 은유한다.
응용미술, 미술교육, 미술학을 공부한 그는 긴 조사와 방대한 자료를 토대로 마치 연구자와 같이 주제를 탐구해 나간다. 그의 작업들은 실내와 자연 풍경 등의 다양한 장소에 유기적인 형태로 설치되는 씨리즈 작업으로 발전하게 된다.

시간의 흔적

초기 작업에서 이영희는 신석기 시대의 토기, 전통 문양, 민속문화와 관련 된 유물들의 형태와 모티브에 근거한 설치 오브제들을 만들고 이들로 유적지와 같은 공간을 연출해 낸다.
1960년대 기존의 고고학에서 유물을 수집하고 물질적인 생활방식만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반대하며 미국에서 일어난 신고고학New Archeology은 발견된 유물에 담겨있는 정신세계와 그 당시의 사회를 총체적으로 연구하며 인간의 행위와 문화진행 및 과정과 법칙의 규명을 목표로 주창하였다. 이영희는 이러한 신고고학의 맥락에서 과거의 흔적들 탐색하고 다양한 공간에서 예술로 재구성해 낸다.
황량한 겨울 풍경 속에 설치된 그의 오브제(대성리 페스티벌, 1991)들은 자연 염색한 직물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이 조형물들은 땅껍데기 같은 형태로, 그 표면에는 마치 고대 암각화같은 문양이 세겨져 있다. 지표면 위에 세워진 이 오브제들은 지금은 사라진 문명을 떠올리게 한다. 또한 일련의 오브제 씨리즈와 드로잉 작업에 등장하는 두레기, 솟대와 같은 민속 오브제들은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로인해 단절된 전통들을 복구하고 과거와 소통을 시도하는 작가의 의지를 드러내는 도상들이다.

1997년 개인전 ‘발굴-틈’은 고고학의 영역과 민속, 전통문화를 통해 ‘기억’의 기념비세우는 작업이다. 이영희는 갤러리 안에 발굴 현장을 재현한다.
일반적으로 발굴현장은 과거의 삶은 사라지고 그들이 만들어낸 물질-문명의 흔적만이 발견되는 곳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발견 된 유물들은 인류의 삶이 진행되었던 장소에서 유린된 채 과학적 방식과 역사적 검증을 통해 고고학 자료로서박물관에 전시된다. 그러나 이영희에게 발굴은 물질적인 조우뿐만이 아니라 그것이 담고 있는 시간의 기억을 자신의 작업으로 옮겨내는것을 의미한다. 즉 인류가 한 장소에 정착하고 문명을 발전시키게 되면서 등장하게 된 토기의 파편에서 영감을 얻어 다양한 직물을 사용해 꿰매 붙이는 것은 시간의 파편, 인류의 삶의 흔적들과 기억을 복원하는행위인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작업들이 설치된 공간에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동시적 시간simultaneous time이 흐른다.

낯과 밤

이영희의 설치 작업의 재료들은 면, 마, 태모시 등과 같은 섬유나, 흙 등이다. 자연 염색을 한 그 섬유들 사이에 두툼한 솜과 나뭇잎, 잔 가지 등을 끼워 넣어, 사이사이를 누비듯 재봉질, 또는 바느질하고, 때로는 그 불규칙한 조각들을 딱딱하게 화석화시키기도 하여 켜켜이 쌓인 시간의 흔적을 만든다.

1970년대 여성작가들과 소수민족작가들은 차가운 모더니즘을 벗어나 민족, 전통, 민속과 같은 주관적이고 주제들과 퀼트, 바느질, 도예와 같은 전통적으로 미술의 주변 부에 있던 장르들을 적극적으로 작업 방식으로 취했다. 이영희의 설치 작업들은 이러한 1970년대의 대안적alternative인 미술운동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장소 특정적인 Sit-specific 구조물로 발전되어 왔다.
낮과 밤이라는 시간의 흐름과 이로 인한 장소의 변화를 보여 준 ‘1998년 죽산아트페스티벌’ 설치 작업과 각 층이 지면과 연결되는 독특한 구조의 토탈 야외미술관에서 연극 무대와 같은 연출을 선보인 섬 Island 1998은 빛과 형태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사색하게되는 시적인 공간을 보여준다.

한편 이영희 작업에서 대지는 작업이 설치되는 공간으로서의 작업의 맥락을 제시하지만 그 자체가 주제이기도 하다.
벼의 껍질과 흙, 테모시로 만들어진 틈 Crack 2005은 과거의 시간이 층위로 기록된 지하세계와 갈라진 땅사이에서 솓아나는 새싹을 통해 죽음과 삶이 반복되는 우주의 순환과 생명의 힘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잠재된 대지의 풍경은 거대한 잠재태로서 작가의 영감의 근원이 된다.

Traces of time, death and revival through day and night

2011

Lee Younghee metaphorically represents nature and civilization, whole and part, and life and death, with materials and sites where her works are installed. With an applied art, art education, and art studies major, Lee explores themes like a researcher, using long investigation and diverse materials. Her work evolves into a series of organic installations in diverse places such as indoor spaces and natural landscapes.

Trace of time

In her early work Lee presented space like a historic site space with installation objects based on forms and motifs from artifacts related to prehistoric pottery, traditional patterns, and folk culture. Opposing established archeology, relic collection, reshaping physical life, new archeology appeared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60s, with claims of studying the spiritual world from within artifacts and then to society, investigating human behavior, cultural progress, and laws. From the context of new archeology Lee explores traces of the past and reconstructs them in diverse spaces.

Lee used dyed fabrics as objects installed in a dreary winter scene at Daeseong-ri Festival 1991. These looked like the earth’s crust engraved with patterns or ancient rock painting, reminiscent of a disappeared civilization. Objects such as a duregi (flags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and a sotdae (village guardian pole), are icons symbolic of Lee’s recovery of tradition, severed by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Lee’s 1997 solo show Crack:Excavation showed the work of erecting monuments of memories through archeology, folk and traditional culture. Lee represented sites of archeological excavation, where lives disappear and traces of civilization are found. Relics excavated are displayed in museums as archeological material through scientific method and historical verification, separated from sites where they were discovered. For Lee, excavation is a physical encounter and means of moving a memory which relics bear to her work.

Inspired by fragments of pottery from early civilization that appeared when humankinds settled in a place, Lee stitches various fabrics together, in an act of recovering fragments of time and memories of human life. Past and present thus flow in the space where her work is installed.

Day and night

The materials of Lee’s installation includes clay, cotton, hemp, and ramie cloth. Lee inserts cotton tuffs, leaves, and twigs between the cloth, stitches these, to fossilize irregular fragments, engendering layers of time.

In the 1970s women artists and artists from minority races addressed subjective themes within people, tradition, and folklore, embracing marginal genres like quilting, stitching, and ceramics. Lee’s installation has developed into site-specific structures influenced by alternative art movements of the 1970s. Her installation exhibited at the Juksan Art Festival in 1998 showed the flow of time, from day to night, and changes in a place affected by this flow. The Island 1998, displayed at the Tot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presented a stage with the unique structure linking floors of the museum to the ground floor. These installations present poetic space in which viewers mediate on life and death.

In Lee’s work land is space where her work is set, and the theme of her work. The Crack 2005 shows cycles of the universe between life and death, and force of life underground chronicling the time of the past with sprouts shooting up from a chasm. The landscape of this land is source of her inspiration.

Camille KH PARK

-----------------

시간의 흔적과
낮과 밤을 통해 재생되는 죽음과 부활

2011
박기현

이영희는 그가 사용하는 재료와 작업이 설치되는 장소를 통해 자연과 문명, 전체와 부분 그리고 삶과 죽음에 대해 은유한다.
응용미술, 미술교육, 미술학을 공부한 그는 긴 조사와 방대한 자료를 토대로 마치 연구자와 같이 주제를 탐구해 나간다. 그의 작업들은 실내와 자연 풍경 등의 다양한 장소에 유기적인 형태로 설치되는 씨리즈 작업으로 발전하게 된다.

시간의 흔적

초기 작업에서 이영희는 신석기 시대의 토기, 전통 문양, 민속문화와 관련 된 유물들의 형태와 모티브에 근거한 설치 오브제들을 만들고 이들로 유적지와 같은 공간을 연출해 낸다.
1960년대 기존의 고고학에서 유물을 수집하고 물질적인 생활방식만을 재구성하는 방식에 반대하며 미국에서 일어난 신고고학New Archeology은 발견된 유물에 담겨있는 정신세계와 그 당시의 사회를 총체적으로 연구하며 인간의 행위와 문화진행 및 과정과 법칙의 규명을 목표로 주창하였다. 이영희는 이러한 신고고학의 맥락에서 과거의 흔적들 탐색하고 다양한 공간에서 예술로 재구성해 낸다.
황량한 겨울 풍경 속에 설치된 그의 오브제(대성리 페스티벌, 1991)들은 자연 염색한 직물을 사용하여 제작되었다. 이 조형물들은 땅껍데기 같은 형태로, 그 표면에는 마치 고대 암각화같은 문양이 세겨져 있다. 지표면 위에 세워진 이 오브제들은 지금은 사라진 문명을 떠올리게 한다. 또한 일련의 오브제 씨리즈와 드로잉 작업에 등장하는 두레기, 솟대와 같은 민속 오브제들은 급격한 산업화와 현대화로인해 단절된 전통들을 복구하고 과거와 소통을 시도하는 작가의 의지를 드러내는 도상들이다.

1997년 개인전 ‘발굴-틈’은 고고학의 영역과 민속, 전통문화를 통해 ‘기억’의 기념비세우는 작업이다. 이영희는 갤러리 안에 발굴 현장을 재현한다.
일반적으로 발굴현장은 과거의 삶은 사라지고 그들이 만들어낸 물질-문명의 흔적만이 발견되는 곳이다. 그리고 이곳에서 발견 된 유물들은 인류의 삶이 진행되었던 장소에서 유린된 채 과학적 방식과 역사적 검증을 통해 고고학 자료로서박물관에 전시된다. 그러나 이영희에게 발굴은 물질적인 조우뿐만이 아니라 그것이 담고 있는 시간의 기억을 자신의 작업으로 옮겨내는것을 의미한다. 즉 인류가 한 장소에 정착하고 문명을 발전시키게 되면서 등장하게 된 토기의 파편에서 영감을 얻어 다양한 직물을 사용해 꿰매 붙이는 것은 시간의 파편, 인류의 삶의 흔적들과 기억을 복원하는행위인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작업들이 설치된 공간에는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동시적 시간simultaneous time이 흐른다.

낯과 밤

이영희의 설치 작업의 재료들은 면, 마, 태모시 등과 같은 섬유나, 흙 등이다. 자연 염색을 한 그 섬유들 사이에 두툼한 솜과 나뭇잎, 잔 가지 등을 끼워 넣어, 사이사이를 누비듯 재봉질, 또는 바느질하고, 때로는 그 불규칙한 조각들을 딱딱하게 화석화시키기도 하여 켜켜이 쌓인 시간의 흔적을 만든다.

1970년대 여성작가들과 소수민족작가들은 차가운 모더니즘을 벗어나 민족, 전통, 민속과 같은 주관적이고 주제들과 퀼트, 바느질, 도예와 같은 전통적으로 미술의 주변 부에 있던 장르들을 적극적으로 작업 방식으로 취했다. 이영희의 설치 작업들은 이러한 1970년대의 대안적alternative인 미술운동에서 많은 영향을 받은 장소 특정적인 Sit-specific 구조물로 발전되어 왔다.
낮과 밤이라는 시간의 흐름과 이로 인한 장소의 변화를 보여 준 ‘1998년 죽산아트페스티벌’ 설치 작업과 각 층이 지면과 연결되는 독특한 구조의 토탈 야외미술관에서 연극 무대와 같은 연출을 선보인 섬 Island 1998은 빛과 형태를 통해 삶과 죽음에 대해 사색하게되는 시적인 공간을 보여준다.

한편 이영희 작업에서 대지는 작업이 설치되는 공간으로서의 작업의 맥락을 제시하지만 그 자체가 주제이기도 하다.
벼의 껍질과 흙, 테모시로 만들어진 틈 Crack 2005은 과거의 시간이 층위로 기록된 지하세계와 갈라진 땅사이에서 솓아나는 새싹을 통해 죽음과 삶이 반복되는 우주의 순환과 생명의 힘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이 잠재된 대지의 풍경은 거대한 잠재태로서 작가의 영감의 근원이 된다.